면허취소 재취득, 어떻게 할까요?
음주운전을 하거나 교통법규를 어겨서 적발이 되어 벌점이 쌓인다면 면허취소 처분을 받게 됩니다.
면허가 취소되었다면 다시 발급을 받기 전에 운전을 하면 안되기 때문에 면허취소 재취득에 대해서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면허취소 재취득을 하고 싶다면 우선 본인이 어떤 이유로 취소가 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인에 따라서 기간이 조금씩 다른데 최소 6개월에서 최대 5년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아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면허취소 재취득 기간이 6개월로 판정 났었다면 대표적인 사유로는 단순 음주, 단순 무면허 등이 있습니다.
만약 1년 동안 제한이 되었다면 공동위험행위로 취소된 사람이 원동기 면허를 따고자 하는 경우, 무면허운전, 자동차를 이용한 범죄 등이 있습니다.
2년인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사유로는 음주 측정 불응 3회 이상, 자동차 절취, 공동위험 행위 2회 이상 등이 있습니다.
정말 많은 것들이 있지만 면허취소 재취득을 하는데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러한 행위는 애초에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면허취소 재취득 기간이 만약 3년 이상이라면 교통사고를 3회 이상 야기, 과로운전, 음주운전, 무면허, 약물복용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예외로 단순한 사고라고 해도 뺑소니일 경우 최소 5년 이상이 걸립니다.
이런 것처럼 면허가 취소될 수 있는 사유는 굉장히 많기 때문에 다시 취득할 수 있는 기간 또한 굉장히 다양합니다.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는데 취소가 되었다면 어떤 사유로 인해서 취소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 사유라면 얼마나 시간이 흘러야 하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해야 하는 것은 만약 음주운전으로 인해서 면허가 취소되었다면 오랫동안 기다려야 되는 것은 물론이고 특별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해야만 합니다.
음주운전은 다른 사람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행동이니 절대로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자동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딩웨이브 현상이란 무엇일까? (0) | 2019.09.30 |
---|---|
타이밍벨트교체주기는 언제일까? (0) | 2019.09.30 |
차 부품 용어, 어렵지 않아요! (0) | 2019.09.27 |
신호위반 과태료, 알아볼까요? (0) | 2019.09.27 |
초보운전 장거리, 무섭다구요? (0) | 2019.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