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쉬테일 현상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운전을 즐겨 하시는 분들께서는 피쉬테일 현상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현상은 운전을 하다가 갑자기 뒷바퀴가 미끄러지면서 자동차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말하는데 주행속도가 빠른 경우엔 큰 사고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운전자들이 피쉬테일 현상을 두려워하는 이유로는 겨울철 블랙아이스만큼 쉽게 일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사고가 나기 때문입니다.
차량의 뒷부분이 미끄러지는 모습이 물고기 꼬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인데 이것을 예방하기 위해선 차선변경을 할 때, 급하게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피쉬테일 현상의 경우 급발진처럼 논란이 끊기지 않는 문제중에 하나입니다.
이것의 의미는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한 것이며 가장 널리 알려진 원인으로는 타이어의 접지력 저하 때문이라고 합니다.
특히, 시중에 가장 많이 있는 전륜차량의 경우 중량이 앞쪽에 쏠려있기 때문에 이 현상이 더 높은 확률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타이어 접지력의 문제뿐만 아니라 트렁크에 많은 짐이 있을 경우, 좌우로 관성이 생길 경우, 타이어 그립력 저하, 타이어 마모, 타이어 공기압이 낮은 경우 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는 정말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자동차 사고는 아무리 조심한다고 해도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대처방법을 평소 알 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피쉬테일 현상이 나타났다면 당황해서 브레이크를 밟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차가 꺾이는 방향으로 스핀을 하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본인이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뒷부분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면 브레이크를 밟는 것이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살짝 꺾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방법을 카운터 스티어라고 부르는데 미끄러짐 정도 그리고 속도를 고려하여 핸들을 꺾어야 하는데 만약 무턱대고 핸들을 꺾는다면 더 심하게 스핀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차량의 suv라면 피쉬테일 현상을 더욱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suv의 경우 차고가 높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전복될 수도 있으며 본인 앞차량이 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 즉시 비상등을 켜고 속도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s 시스템이 뭔가요? (0) | 2019.09.23 |
---|---|
자율주행 자동차 장단점은 뭐가 있을까? (0) | 2019.09.22 |
타이어 트레드 확인, 어떻게 할까요? (0) | 2019.09.22 |
터보엔진 단점, 뭐가 있는지 궁금하세요? (0) | 2019.09.17 |
자동차 요소수라는 것은 뭔가요?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