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각수 교환주기, 꼭 갈아야 하나요?








자동차 면허가 있어서 운전을 해보신


분들께서는 자동차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냉각수라는 것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냉각수라는 것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적절한


냉각수 교환주기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냉각수가 하는 일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냉각수라는 것은 엔진의 냉각 즉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입니다.


흔히 엔진은 자동차의 심장이라고 불리는데


자동차가 굴러가기 위한 동력을 만드는


대신 그 대가로 열을 발생하는데


이 열로 인해서 자동차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냉각수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엔진이 과열되는 것은


물론이고 기타 부품들의 손상이 심하게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냉각수 교환주기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제때 갈아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냉각수 교환주기에 대해서 정확하게


모르시는 분들께서는 인터넷에 검색해서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4km마다 교체해야 한다,


10년 동안 갈지 않아도 된다, 2년마다


교체해야 한다,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것은 카센터의 계략이다, 그냥 생각이


날 때 충전하면 된다 등 정말 다양한


의견이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을 믿고


진행해야 하는지 모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초보자 분들의 경우 냉각수와


부동액을 매우 헷갈려하여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냉각수와 다르게 부동액의 경우


말 그대로 얼지 않는 액체를 의미하며


겨울에는 냉각수가 얼 수가 있는데 그렇게


된다면 제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냉각수가 얼지 않도록 부동액을


첨가하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냉각수 교환주기의 경우


신차 기준 메뉴얼에 따른다면 10만km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초기상태의 냉각수는 최고의 성능을


가진 상태지만 사고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보충을 할 때는 비율과 성분이 달라지기


때문에 부식 혹은 녹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4만km 혹은 2년마다 교환하라고


권유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은 생각보다 정말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하시는 냉각수 교환주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잘못된 정보로 인하여 소중한 자동차가


망가지지 않고 10년 이상 탈 수 있도록


평소에 관리를 잘해서 안전한 운행으로


편안한 출퇴근을 하시길 바랍니다.





Posted by 여우바늘 :